미국의 철학자 후크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어.
'좋은 교육은 그 사회의 문화 속에서 통합적인 역할을 하는 교육이며, 이러한 의미에서의 좋은 교육은 형식적 특징에 있어서 어느 문화에서나 같은 것이다.'
이 말은 좋은 교육은 그 사회의 문화적 정체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균형 있게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교육이라는 뜻이야. 한 사회가 존재한다는 것은 하나의 문화 체제가 존재한다는 뜻이고 그 사회의 특징적인 교육 이념과 내용은 적어도 그 원리상 사회의 삶을 특징짓고 있는 사고 방식과 행동의 규범과 관습의 형태를 총칭하는 말이야.
그건 사회가 이루어 놓은 업적이며 개성이기도 하지.
사회문화적 결정
문화는 넓은 의미의 사회제도야. 이는 언어, 관습, 학문, 예술, 기술 등 사회에서 형성되고 창조된 삶의 방식의 총체로서의 사회제도지.
피니는 교육의 개인적인 목적을 자아실현이라고 전제하고 자아실현은 모든 사회제도에 균형 있게 참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말했어. 그러니까 그에 따르면 교육의 직접적인 목표는 학습자들이 사회제도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거라고 할 수 있어. 말하자면 사회제도는 곧 교육의 구체적 목표물에 상당한다는 거지.
따라서 교육의 내용은 그러한 사회제도의 운영에 동원된 지적 원천이 되는 것들로 구성되어야 해.
교육의 과정은 사회적 과정이야. 그건 두 사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원시적이고 단순한 활동을 언급하는 경우도 그렇지만 거대한 규모의 국가적 사업으로 전개되는 전반적 과정을 말할 때도 그래.
교육을 어떤 원리에 의해 실시하고 교육에서 어떤 목적을 추구할지는 사회적 과정에서 결정되고 그런 과정은 불가피하게 사회적 관계를 성립시키는 문화로서 특징짓게 되는 거야.
이건 원시사회에서 원시적 문화로, 문명사회에서는 문명된 삶의 방식으로 결정 돼. 전체주의적 생활에서는 전체주의적 방식으로, 민주주의적 생활에서는 민주주의적 방식으로, 또 종교적 생활의 특징이 강한 곳에서는 그런 대로 과학적 생활 특징이 강한 곳은 그런 대로 결정되는 거야.
적어도 한 사회에서 실제로 구체적 생활의 형태로 전개되는 교육은 그 사회의 문화 체제에서 중핵적이고 통합적인 역할을 해. 왜냐하면 그 사회와 문화는 교육에 의해 유지되고 교육에 의해 안전하고 균형 있는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이야.
다시 말해서, 교육은 그 자체가 문화이고 동시에 문화를 관리하는 사회적 기능이라는 의미!
사회문화적 결정의 의의
앞서 다룬 형이상학적 결정에 관해 논할 때 언급한 세게관들. 초현실주의나 현실주의 그 어느 것이든지 그러한 견해 자체가 문화이고 그것과 대립되는 생각들이 한 사회에서 갈등하거나 공존한다면 그건 그 자체로서 문화인 거야.
그리고 인간의 본질에 관한 여러 가지의 서로 다른 생각들이 있고 이들이 갈등하거나 대립하거나 개방적으로 공존하거나 그 무엇도 아니거나 등 어떤 것에도 상관없이 어떤 형태로든지 그것은 문화라고 이야기할 수 있어.
따라서 현실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의 의미와 목적은 문화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설명은 실제적으로는 사실을 가장 잘 표현한다고 볼 수 있지.
마무리
사회문화적 결정의 핵심은 매우 직관적이고 오늘날에도 많이 쓰이기 때문에 이전에 다룬 형이상학적 결정보다는 조금 더 쉽게 다가왔을 것이라고 생각해.
같은 상황에서 결정을 내리더라도 사회나 집단에 따라 그 결정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잖아. 우리는 반대로 그 결정을 보고 집단의 성격을 알 수 있을 거야.
결과론적으로 같은 결론이 났더라도 그걸 선택한 이유는 또 천차만별로 나뉠 수 있겠지. 토론에서 찬반이 서로 다른 의견에 대해 수많은 근거를 가지는 것처럼 말이야.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결정을 유심히 잘 지켜볼 필요가 있어. 어떤 문제였는지 어떤 결론이 났는지를 넘어, 왜 이런 결론을 내었고 결론에 의해 우리가 얻게 되는 이익 혹은 손해는 무엇이 있는지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겠지?
'무늬의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 본격적인 시작 전에 - 인간특성의 교육적 이해 (0) | 2023.04.07 |
---|---|
[교육학] 우리는 왜 교육하고 교육 받을까? -3편 (0) | 2023.04.07 |
[교육학] 우리는 왜 교육하고 교육 받을까? 1편 (0) | 2023.04.04 |
[교육학] 좋은 습관은 왜 중요할까? (0) | 2023.04.02 |
[교육학] 교실에서 공부하는 것도 경험인 걸 (0) | 2023.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