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의 교육학

[교육학] 본격적인 시작 전에 - 인간특성의 교육적 이해

무늬 mooni 2023. 4. 7. 13:37
인트로

 

다들 심리학에 관심이 있을 것 같아서 관련된 부분을 다뤄보려고 해.

 

그런데 이 부분은 원래 교육을 어느 정도 배운 후에 다루는 부분이라 조금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아.

(사실 요즘 글 쓰면서 느낀 부분이야.)

 

그래서 이번 주제는 본 글로 들어가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내용을 짧게 다뤄보고 지나가도록 할게

 

인간과 교육

 

교육의 대상은 인간이야.

 

연구를 통해 확인된 법칙이나 이론을 이용해서 개를 훈련시키고, 조류에게 습관을 익히도록 하는 것을 교육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그건 오히려 '훈련'이나 '습관화'라는 단어가 더 어울리는 상황이지.

 

역으로 생각하면 하등 동물이든 고등 동물이든 그것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경험에서 얻은 법칙이나 이론을 인간에게 적용시켜 교육할 수도 있을 거야. 하지만 이것도 '의인화' 혹은 '모방'이라는 단어가 더 어울리지 않을까?

 

교육학에서는 교육이라고 할 때 그 대상을 어디까지나 인간을 지칭한다는 것은 불변의 합의라고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말하기도 해.

 

 

교육은 그 단어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을 기르는 일이야. 인간을 '인간답게' 기르는 일이 교육이라고 할 때의 인간은 바로 인간의 행동 특성을 지칭하지.

 

인간이 가지는 특성에는 여러가지가 있어. 신체적, 생물적, 생리적 현상 등이 있어. 하지만 놀랍게도 교육이 관여하고 관심을 가지고 있는 대상은 바로 인간의 행동 특성이야.

 

인간의 행동 특성에도 여러 가지가 있어. 인지적 특성도 있고 정의적 특성도 있어.

 

인간이 접하는 정보를 획득하여 기억하고 재생하며 변환하고 통합하고 체계화 시키는 능력에 관련된 특징을 우리는 인지적 행동이라고 해. 이 속에 포함되는 지적 능력, 지능, 적성, 사고력, 창의력 등이 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특성이야. 인간의 정의적 특성은 사람이 어떤 대상에 대해 갖는 감정적 느낌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특성이야.

 

전문적인 표현으로는 인간의 정서와 기질에 의해 발달하고 분화되면서 그것을 기초로 해 형성되는 정서적 색조를갖는 행동 특성을 지칭한다고 해. 사물에 대한 흥미나 태도, 가치관의 형성, 동기, 성격적 특성 등이 모두 포함 돼.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은 개념상으로 혹은 이론적으로 구별하지만 서로 전혀 다른 별개의 속성으로 발달하거나 형성되는 것은 아니야.

 

이 두 가지 종류의 특성 사이에는 밀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도 알아두고 가면 좋을 것 같아.